안녕하세요 원래 체스 1등을 했으면 몇 판 더 하려고 했는데 3등밖에 못해서 이번 모각코에서 정리한 걸 포스팅하려고 해요.
저번에 안드로이드 관련 포스트를 작성했는데 생각해보니까 뭔가 기초 부분에 대한 설명은 하나도 한 거 같지가 않아서 정리해보려고 해요.
기초가 튼튼해야 성공할 수 있다네요, 네.
그러면 오늘은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와 액티비티를 2~3개의 포스팅에 걸쳐 가볍게 살펴보기로 할게요
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할까요?
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에는 아래 3 Step을 따른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
-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성 (XML)
- 자바 / 코틀린 코드 작성 (JAVA / KOTLIN)
- 매니페스트 파일 작성 (XML)
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, 다시 말하여 Front-End 부분입니다.
자바 / 코틀린 코드는 사용자와 interact하는 기능들, 다시 말하여 Back-End 부분입니다.
마지막으로 매니페스트 파일은 앱의 전반적인 정보(앱의 이름, 컴포넌트 구성)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액티비티를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.
이제 작성 절차는 대략적으로 알았으니 실제로 저희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무엇을 많이 사용하는 지, 어떨 때 사용하는 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겠죠? 처음 스튜디오를 접했을 때 생소했던 패키지 폴더들을 알아보려고 해요.
폴더 또는 파일 | 설명 |
java | 자바 소스 파일들이 들어있는 폴더 |
Gradle Scripts | Gradle은 build 시에 필요한 스크립트 |
res | 각종 리소스들이 저장되는 폴더 drawable - 해상도 별로 아이콘 파일 저장 layout - 화면의 구성 정의 values - 문자열 등의 리소스 저장 menu - 메뉴 리소스 저장 |
manifest | 앱의 전반적인 정보(이름, 컴포넌트 구성 등)가 담긴 파일 |
위에서 설명한 3 Step과 위 패키지 폴더를 매칭해볼까요?
Step 1 -> res의 layout을 주로 이용, 필요에 의하여 drawable, values, menu를 사용
Step 2 -> java 폴더를 주로 이용, 작성 언어는 java 또는 kotlin
Step 3 -> manifest에 Step 2에서 생성한 액티비티 추가 및 조정
오늘은 프로젝트와 액티비티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했는데요?
작성을 해보니까 액티비티에 대한 설명이 없네요
감사합니다
'모각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모각코 1114] 여러분들의 deprecated된 아이들, 제가 찾아드리겟읍니다. (0) | 2022.11.15 |
---|---|
[모각코 1107] 나같은 실수하지 말것-Python (0) | 2022.11.08 |
[모각코 1031]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README.md 작성하기 (0) | 2022.10.31 |
[모각코 1017] Python 데이터 시각화의 첫 걸음 - matplotlib (0) | 2022.10.26 |
[모각코 0926] 코드 중복은 못참지 - style편 (2) | 2022.09.27 |